

아버지 이제야...
작성자 조금엽
등록일 1999-09-08
조회수 1498
청년 두 사람이 베란다 가득히 자리잡고 있던 화분들을 옮겨내고 있었다.
저 화분은 어머니가 사주신 것이고
그 화분은 음악회를 하던 날 친구가 보내온 것이고
이 화분은 국화향 아름답던 어느 가을날 시장바구니를 들고 샀던 것이고...
크고 작은 화분 하나하나는 이처럼 나름대로의 사연을 담고 있었다.
그 중에는 10년 가까이 정이 든 것도 있어
모른 체 하고 떠나보내기란 여간 아쉬운 게 아니었다.
잡은 손 억지로 떼어내듯 차에 싣는 걸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었다.
그 사람을 따라온 지 15년,
그 사이 많은 사람들이 오고 갔지만
나는 이 동네를 떠나면 살 수 없는 사람처럼
아파트 한 모퉁이에 둥지를 짓고 머무르고 있었다.
어디든 정이 들면 고향이라지만
나에게 있어 새롭게 정들이는 건 수월한 일이 아니었기에.
마음 같아선 숲 속이나 바다가 보이는 언덕에 보금자리를 정하고
날씨와 계절에 따라 표정이 달라지는 자연을 대하며
한 곳에서 해가 뜨고 지는 걸 바라보고 싶었지만
모든 것이 그러하듯 집을 구하는 데도 우선순위가 있었다.
아이들.
이것저것 욕심이나 불편이야 감수한다 해도
아이들의 교육여건을 접을 수는 없었다.
(에구~ 어쩔 수 없는 엄마의 이 마음을 두 녀석이 알기나 할까?)
그리하여 오랫만에 큰 마음을 먹고 움직여 보려했던 시도는 불발로 끝이 나고
나는 다시 주저앉고 말았다.
하지만 이사를 할 마음이었으니 집안을 새롭게 정리해보자는 남편의 제안대로
대대적인(?) 수리를 위한 기초작업 중 하나가
삐걱거리며 돌아가는 물레방아와
초록의 향기를 뿜어내던 베란다의 화초들을 시집 보내는 일이었다.
악수를 하듯 반들반들 윤이 나는 나뭇잎을 쓰다듬으며 무언의 인사를 나누다가
나를 시집 보내시던 날 아버지의 심정이
어쩌면 이와 같으셨을 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.
마당 한 모퉁이엔 포도나무를,
화단에는 철따라 예쁜 꽃들을 심으시고 새로운 꽃이 필 때마다
언니와 나를 불러 꽃밭에 앉게 하시고는
카메라 렌즈 속에 비추인 우리들의 모습을 즐거이 바라보셨던 아버지,
국어 선생님은 어떻고 수학선생님은 어떻고 학교에선 무슨 일이 있었고
모 남학생이 어쩌고 저쩌고 미주알고주알 다 일러바치던 우리들의 재잘거림을
미소로이 듣고 계셨던 아버지.
어떤 화초를 이보다 더 귀하고 소중하게 키울 수 있을까?
그러다가 어느 날 당신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누군가를 따라가겠다고 했던 날,
아버지의 심정은 또 어떠하셨을까?
내 나이 마흔, 이제야 겨우 헤아려보는 아버지의 마음...
아버지!
오늘따라 언제나 따스했던 아버지의 큰 손이 생각납니다.
철딱서니 없는 작은 딸은 언제나 철이 들까요?
그래도 아시죠?
아버지를 사랑하는 제 마음을요...
저 화분은 어머니가 사주신 것이고
그 화분은 음악회를 하던 날 친구가 보내온 것이고
이 화분은 국화향 아름답던 어느 가을날 시장바구니를 들고 샀던 것이고...
크고 작은 화분 하나하나는 이처럼 나름대로의 사연을 담고 있었다.
그 중에는 10년 가까이 정이 든 것도 있어
모른 체 하고 떠나보내기란 여간 아쉬운 게 아니었다.
잡은 손 억지로 떼어내듯 차에 싣는 걸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었다.
그 사람을 따라온 지 15년,
그 사이 많은 사람들이 오고 갔지만
나는 이 동네를 떠나면 살 수 없는 사람처럼
아파트 한 모퉁이에 둥지를 짓고 머무르고 있었다.
어디든 정이 들면 고향이라지만
나에게 있어 새롭게 정들이는 건 수월한 일이 아니었기에.
마음 같아선 숲 속이나 바다가 보이는 언덕에 보금자리를 정하고
날씨와 계절에 따라 표정이 달라지는 자연을 대하며
한 곳에서 해가 뜨고 지는 걸 바라보고 싶었지만
모든 것이 그러하듯 집을 구하는 데도 우선순위가 있었다.
아이들.
이것저것 욕심이나 불편이야 감수한다 해도
아이들의 교육여건을 접을 수는 없었다.
(에구~ 어쩔 수 없는 엄마의 이 마음을 두 녀석이 알기나 할까?)
그리하여 오랫만에 큰 마음을 먹고 움직여 보려했던 시도는 불발로 끝이 나고
나는 다시 주저앉고 말았다.
하지만 이사를 할 마음이었으니 집안을 새롭게 정리해보자는 남편의 제안대로
대대적인(?) 수리를 위한 기초작업 중 하나가
삐걱거리며 돌아가는 물레방아와
초록의 향기를 뿜어내던 베란다의 화초들을 시집 보내는 일이었다.
악수를 하듯 반들반들 윤이 나는 나뭇잎을 쓰다듬으며 무언의 인사를 나누다가
나를 시집 보내시던 날 아버지의 심정이
어쩌면 이와 같으셨을 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.
마당 한 모퉁이엔 포도나무를,
화단에는 철따라 예쁜 꽃들을 심으시고 새로운 꽃이 필 때마다
언니와 나를 불러 꽃밭에 앉게 하시고는
카메라 렌즈 속에 비추인 우리들의 모습을 즐거이 바라보셨던 아버지,
국어 선생님은 어떻고 수학선생님은 어떻고 학교에선 무슨 일이 있었고
모 남학생이 어쩌고 저쩌고 미주알고주알 다 일러바치던 우리들의 재잘거림을
미소로이 듣고 계셨던 아버지.
어떤 화초를 이보다 더 귀하고 소중하게 키울 수 있을까?
그러다가 어느 날 당신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누군가를 따라가겠다고 했던 날,
아버지의 심정은 또 어떠하셨을까?
내 나이 마흔, 이제야 겨우 헤아려보는 아버지의 마음...
아버지!
오늘따라 언제나 따스했던 아버지의 큰 손이 생각납니다.
철딱서니 없는 작은 딸은 언제나 철이 들까요?
그래도 아시죠?
아버지를 사랑하는 제 마음을요...